여행기/경험 Death Valley - 3 : Badwater Basin

2011.12.11 00:40

goldenbell 조회 수:6747 추천:2

미 서부 대부분 지역처럼 Death Valley는 약 2억 년 전에는 바다 밑에 있었다. 압력을 받아 쌓인 퇴적물들이 형태가 변하고 지각변동으로 위로 들어 올려져 바다 밑의 지형이 산맥으로 변하였다. 즉, 지구의 조산운동으로 이한 지각 변동의 결과였다. 거대한 덩어리가 단층선을 따라 밑으로 밀려 이동하고 주변의 덩어리들은 위로 밀어 올려져 가장자리에 산맥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졌다.

 

자료를 정리하면 느낀 것인데 지질학의 용어가 너무 난해하여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림으로 이해를 돕는다.

 

계곡이 침하하면서 주변에 축적되어 있던 퇴적물도 연이어 침식되었다. 침식과정이 계속되면서 바닥은 계속 낮아져 해수면보다 86m나 낮아졌다. 지금도 융기와 함몰과정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머나먼 옛날에는 대부분 지역이 바닷물에 의한 염수호였다. 이 염수호는 고온으로 인한 물의 증발때문에 메마른 평지가 되었으며 거대한 Salt pans이 형성되었다. 이 salt pans은 지구에서 가장 큰 소금층이며 남쪽의 Ashmill Mill부터 북쪽의 Salt Creek Hills까지 폭 8km 길이 64km에 넓이 520km2에 이르며 이는 여의도 면적의 620배 크기다. 

 

위성에서 보면 이런 모습이다.

 

약 1만 년 전에는 지금처럼 건조하지는 않았으며 주변 산에서 흘러내려온 물이 계곡을 깊이 1m  길이130km 의 Lake Manly를 만들었다. 그후 생긴 깊이 10m의 호수가 2-3,000년 전 증발하면서 만들어진 것이 Badwater Basin이다.  표면의 소금층 두께는 8-152cm에 이른다.

 

연간 강수량이 2인치가 채 되지 않지만 비가 조금만 와도 홍수기 발생하고 거대한 호수기 만들어지기도 한다. 사막 토양은 비를 쉽게 흡수할 수 없으므로 Flash Floods라는 돌발적인 기상 사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2004년 8월, 홍수로 2명 사망하고 공원이 9일간 폐쇄되었으며 공원 내 도로 역시 수개월간 폐쇄되었다고 2편에서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렇게 갑작스레 생긴 호수는 오래가지 못하고 결국은 소금층만 남게 된다. 계곡의 뜨거운 열기는 연간 3,800mm의 물을 증발시키는 위력을 발휘하기 때문인데 이는 깊이 3.6m 길이 48km의 호수를 1년 만에 증발시켜버리는 것과 같은 수치이다.

 

Badwater Basin은 데스밸리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곳이며 북미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 고도가 -86미터이다. 흔히 서반구에서 가장 낮은 곳이라 하는데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며 Argentina의 Laguna del Carbon이 -105m로 가장 낮다. 폭 8km, 길이 12km인 이 넓은 평지는 대부분이 소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가 와서 홍수가 나면 이곳 표면의 소금은 다 녹아 버리지만 바로 수분이 증발하면서 크리스털 같은 소금결정체를 또다시 남기게 된다. 

 

주변과 비교해 본 그림이다

 

80마일 거리의 마주 보이는 Telescope Peak는 3,366m로 Death Valley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극적인 대비를 이루고 있다. Badwater Basin에서 Telescope Peak까지의 수직 거리는 Grand Canyon 깊이의 2배에 이른다. 1861년 Samuel George가 정상에 오른 후 마치 망원경을 통하여 먼 곳까지 볼 수 있는 것과 같다고 한 것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도착 후 소금밭으로 걸어가려고 하니 카우보이모자를 쓴 예쁜 여성 레인저가 우리 일행한테 몇 분만 시간을 내어달라고 한다. 간단한 주의사항을 환기해주기 위함이다. 지금 온도가 42도이며 조금 후에는 47도까지 예상되니 반드시 물을 갖고 가라고 하며 머리가 아프기 시작하면 탈수증 증세의 시초이니 응급조치를 취하라고 친절하게 가르쳐준다. 가장 더운 때인 지난 7월 17일, LV를 아침 6시 정각에 출발하여 9시경 도착했는데도 이미 기온은 40도를 훌쩍 넘고 있었다. 그래도 물을 준비치 않고 그냥 30여 분을 보냈는데 충분히 견딜 만 하였다.

 

  다음은 지구상의 가장 낮은 고도(Earth's Lowest Elevations)를 순서대로 적어본다.

 

  * Dead Sea (Jordan/Israel)  -1360 feet (-414 m)
  * Lake Assal (Djibouti, Africa)  -509 feet (-155 m)
  * Turpan Pendi (China)  -505 feet (-154 m)
  * Qattara Depression (Egypt)  -435 feet  (-133 m)
  * Vpadina Kaundy (Kazakstan)  -433 ft (-132 m)
  * Denakil (Ethiopia)  -410 ft (-125 m)
  * Laguna del Carbon (Argentina)  -344 ft (-105 m)
  * Death Valley (United States)  -282 ft (-86 m)
  * Vpadina Akchanaya (Turkmenistan)  -266 ft (-81 m)
  * Salton Sea (California)  -227 ft (-69 m)
  * Sebkhet Tah (Morroco)  -180 ft (-55 m)
  * Sabkhat Ghuzayyil (Libya)  -154 ft (-47 m)
  * Lago Enriquillo (Dominican Republic)  -151 ft (-46 m)
  * Salinas Chicas (Argentina)  -131 ft (-40 m)
  * Caspian Sea (Central Asia)  -92 ft (-28 m)
  * Lake Eyre (Australia)  -49 ft (-15 m)

 

 

 한 낮의 불볕 더위를 피하고자  6시에 LV를 출발하여 Pahrump를 거쳐  Shoshone를 지나면 공원이 시작된다. [지도-1]

 

 출발 전 미리 기름을 가득 채우는 게 좋다. [지도-2]

 

입장료는 $20이나 입구가 많아서인지 매표소는 어느 곳에도 없다. Badwater Basin에 무인발급기가 있으며 아니면 Visitor Center에 들러 구입 후 자동차에 부착하면 된다.

 

우리 일행 외에는 1대의 자동차도 보질 못했다. 자칫 과속하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출발 후 Pahrump에서 간단한 아침을 떼우고 후 9시에 도착하였는데 기온은 이미 42도를 넘고 있었다.

 

가장 촌틱스런 포즈로 인증 샷  한방을  날린다. 멀리 보이는 가장 높은 산이  3,366m의 Telescope Peak이다.

 

조금 안쪽으로 걸어 들어가면 이런 모습이다.

 

입구의 Amargosa 산맥 중턱에는 Sea Level 이라고 크게 표시하여 놓았다. (화살표 부분)

 

이해를 돕기위한 설명판이다.

 

저 멀리 사람이 보이는 뒷편까지 갔다 되돌아 오는 중이다.

 

Badwater Ultramarathon

 

미국에서 가장 낮은 Badwater Basin(-86m)에서부터 본토에서 가장 높은 의 Mt. Whitney입구의 고도 2,530m까지 217km를 달리는 극한 마라톤이며 'the world's toughest foot race' 알려져 있다. 두 지점간 지도상의 직선거리는 128km밖에 되지 않는다. 매년 5-6월에 열리며 48시간 내에 완주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기록은 남자 22:51:29, 여자 26:16:12였다.

 

처음에는 Mt. Whitney 정상(고도 4,421m)까지 253km 거리였으나 산을 오르기 위한 당국의 허가가 필요한 이후부터 지금처럼 산 입구까지로 변경되었다. 1977년 Al Arnold가 80시간 만에 산 정상까지의 옛 루트를 주파한 기록을 갖고 있다. 완주한 자는 명예의 전당에 이름이 올라간다. 몇 년간의 기록을 아무리 뒤져도 한국인은 아직 찾아보지 못했다.

 

 

루트 상세지도임

 

-------------------------------------------------------------------------------------------------------------------------------------------------------------------------------------------------------------------------------------- 

Death Valley - 2 : 기온 & 루트,   Death Valley -1 : Outline



댓글은 로그인 후 열람 가능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2024년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 입장 예약 필수 [2] 아이리스 2023.12.23 4185 0
공지 2주 정도 로드 트립 준비중입니다. 어떻게 식사를 해결해야 할 지 고민중입니다. [16] 쌍둥이파파 2023.01.17 7051 1
공지 미국 국립공원 입장료, 국립공원 연간패스 정보 [4] 아이리스 2018.04.18 216389 2
공지 여행계획시 구글맵(Google Maps) 활용하기 [29] 아이리스 2016.12.02 631605 4
공지 ㄴㄱㄴㅅ님 여행에 대한 조언 : 미국여행에 대한 전반적인 준비사항들 [39] 아이리스 2016.07.06 821061 5
공지 goldenbell님의 75일간 미국 여행 지도 [15] 아이리스 2016.02.16 676651 2
공지 렌트카 제휴에 대한 공지입니다 [7] 아이리스 2015.01.31 675864 1
공지 공지사항 모음입니다. 처음 오신 분은 읽어보세요 [1] 아이리스 2014.05.23 728799 2
12350 [미서부 그랜드서클 여행기] #17 메사버드국립공원, 산후안스카이웨이 [10] file Chris 2007.10.19 14727 2725
12349 시애틀에서 샌디에고까지- 샌프란시스코 [1] 정근 2006.03.15 10751 710
12348 샌디에고출발 오레건, 시애틀, 캐나다 록키거쳐 옐로우 스톤으로, 일정 문의드립니다 [4] cecil 2007.07.14 9826 585
12347 샌프란시스코-요세미티-샌프란시스코 5박 6일 일정 조언부탁드립니다. [6] 한대우 2008.02.13 9854 541
12346 자료 검색/ 게시판 글쓰기/ 사진 올기기/ 프린트... victor 2003.07.26 18452 506
12345 [re] 샌프란시스코 & Bay Area/ PCH (몬트레이, 산루이스오비스포/ 산타바바라) victor 2005.04.02 24245 492
12344 루트작성, 여행준비는 어떻게 하지? victor 2003.08.22 20324 430
12343 롱비치의 퍼시픽 수족관 (Aquarium of the Pacific) baby 2006.01.21 12186 427
12342 키드스페이스 어린이 박물관 (Kidspace Children's Museum) baby 2004.10.25 9146 427
12341 12.25 - 1.6 미국 여행 일정 문의 드립니다. [5] 퍼스트 2007.12.07 5884 391
12340 서부 여행일정 문의 드립니다. [2] 스맥보 2007.08.05 6346 387
12339 여행일정등 문의 시 유의사항 (Q&A) victor 2005.03.09 10485 383
12338 뉴스를 봤는데 데스벨리에서 한국인 4명이 극적으로 구조됐다네요 [7] 이선영 2006.08.20 7765 371
12337 세콰이어에서 야생 곰의 습격을 받다. [6] 루시남 2006.08.14 16743 370
12336 MS street & trip 2007 사용후기 [12] 리메 2007.02.14 7581 353
12335 4. 강화농군의 뉴욕에서 엘에이 타후아나 둘러보기 [10] 강화농군 2006.02.17 7661 348
12334 게시판 글쓰기 유의사항 [1] victor 2005.07.06 11966 345
12333 서부여행 좀 봐주세요 (샌프란시스코-몬터레이-요세미티) [14] 숙이 2007.06.22 8244 323
12332 [정보] 어린이 포함한 가족여행시 차량선택 [4] 연주맘 2007.08.29 8273 308
12331 [모임후기] 지금 몇 시 ??? [23] blue 2005.09.08 6898 284
12330 지민이의 미서부여행 19 [2] file 테너민 2008.02.05 6313 282
12329 Great Smoky Mountain & Asheville(Biltmore Estate)1 [3] neve펑펑 2006.11.25 6820 279
12328 프라이스라인 차 렌트 질문입니다. [10] 이안 2005.05.26 10090 273
12327 [re] 길이, 부피, 무게, 기타 단위 들 홈지기 2003.04.25 10397 263
12326 맨땅에 헤딩한 미서부여행 9박 10일(3일차) [6] chally 2006.08.24 6030 26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