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정보 환전(Money Exchange) 요령

2003.01.10 16:35

홈지기 조회 수:9966 추천:106

환전에서 몇가지 요령을 알고 있다면 돈을 절약할 수 있다. 환전에 대한 몇가지 요령을 알아보자.

▶ 환전은 할수록 손해

환전을 할때마다 1~3%의 수수료가 붙는다. 따라서 방문하려는 나라의 돈으로 집접 바꾸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독일을 방문한다면 한국돈을 독일돈로 바로 바꾸는 것이 좋다. 미국 달러로 바꾸어 독일에 가서 다시 독일돈으로 바꾼다면 2번 환전을 하게 되므로 수수료가 당연히 많아진다.

▶ 은행이나 지역에 따라 환율이 다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은행마다 환율이 다르다. 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 같은 은행이라도 위치에 따라 다른 수도 있다. 대개 변두리에 위치하는 공항보다는 도심지에 있는 은행이 유리하고 호텔이 가장 불리하다.

▶ 동전은 다른 나라에서 환전이 안된다.

환전시 유의할 것은 가급적 동전을 남기지 않는 것이다. 동전이 있다면 그 나라를 떠나기 전에 다음 방문할 나라의 돈으로 바꾸거나 달러로 바꾸는 것이 좋다. 금액이 너무 작다면 공항에서 과자나 사탕을 사버리는 것도 요령이다. 기념으로 동전을 가져오는 사람이 있는데 엄밀한 의미에서 불법이다.

▶ 거액의 돈이 필요하면 환전하지 말고 카드를 사용

처음 외국여행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공통적으로 몇천 달러가 넘는 현금이나 여행자 수표(Traveler check, 보통 T/C 라고 부른다)를 가져가는 사람도 있는데, 그러 필요가 전혀 없다. 아마도 처음가는 외국 여행이 불안한데다, 돈이라도 많아야 덜 불안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절대로 그럴 필요가 없다.

고액이 필요한 호텔비나 렌트카 비용, 교육비 등은 모두 신용카드로 지불이 가능하다. 오히려 현금으로 호텔비를 지불하겠다고 하면 수상쩍은 눈초리로 바라 본다. 더우기 신용카드가 없이 호텔에 숙박하기는 매우 어렵다.
회사에서 출장비를 가불해 주면 은행에 예금을 해두고, 현지에 가서는 신용카드로 지불하는 것이 경제적일 뿐더러 편하다. 특히 현금을 가지고 다는는 경우 도난이나 분실의 우려도 크다.

▶ 카드가 없다면 여행자 수표(T/C)를 가져간다.

여행자 수표는 현금보다 환전 수수료도 적을 뿐더러, 분실시 분실 신고를 하면 재발급 해준다. 은행에서 수수료 없이 현금으로 바꿀 수 있으며 일반 상점에서 현금과 똑같이 유통된다.
여행자 수표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환전과 여행자 수표>를 참고하라.

환전]환전과 여행자 수표(Traveler Check)

환전을 하기위해서는 먼저 여행에서 얼마나 돈이 필요한지를 결정해야 한다.
여행하는 지역이나 여행 방법에 따라 하루 필요한 경비는 다르다.
필요 경비를 결정하기 하기 위해서는 여행을 갔다온 사람의 이야기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가지고 갈 돈이 $300 미만이면 현금을 가지고 가는 것이 편하다. $300 이상이면 T/C를 가지고 가는 것이 좋다. T/C는 환전을 하는 은행 창구에서 누구나 살 수 있다.

한국 돈으로 미국 현금(Cash) $1을 살려고 할 때 기준 환율이 1:1000이면 1000원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은행에서 약 2.5%의 수수료를 받기 때문에 실제로는 1025원이 있어야 $1를 살 수 있다. 그러나 T/C는 수수료가 2%이므로 1020원이면 된다. 이때 하나 알아야 할 것은, 기준 환율과 수수료가 은행마다 조금씩 다르다.

또한 나중에 돈이 남아 은행에 되파는 경우도 위의 수수료가 적용되므로, 현금 $1은 975원 받을 수 있는 반면 T/C는 980원 받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해외로 나갈 때에는 Visa와 T/C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T/C는 분실한 경우 발행 은행에 신고하면 다시 교부받을 수 있으므로 고액의 돈을 가지고 가야하는 경우 매우 안전하다. T/C를 발급받을 때 T/C 번호가 적힌 종이를 별도로 주는데 이것을 잘 보관하였다가 T/C 분실시 은행에 가져가면 된다.

T/C에는 사인하는 란이 2곳 있는데 'Sign Here'라고 되어 있는 란에는 구입 시 즉시 사인하고 'Counter Sign'이라고 되어 있는 란에는 사용할 때 해외에서 돈을 지불할 때, 수불자가 보는 앞에서 한다. 사인이 되어 있지 않은 T/C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환불 받지 못한다.

T/C로 지불할 때 신분 확인을 위해 여권을 보여달라고 할 때도 있다. 따라서 T/C를 사용할 경우에는 여권을 지참하는 것이 좋다. T/C 는 식당, 호텔, 렌트카, 상점 등에는 대부분 통용되나 택시나 Fastfood점 등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금이 필요하면 T/C를 호텔 Front desk에 가서 현금으로 바꿔 달라고 이야기하면 된다.

Please cash in this traveler check.
Could you change me this traveler check ?
(이 여행자 수표를 현금으로 바꾸어 주시겠읍니까 ?)

미리 계산 해보는 여행경비 계산

여행을 가려면 비행기표와 숙박비용 이외에도 들어 가는 돈이 많다.
여기에서는 여행에 필요한 모든 비용들의 명세를 알아보자.

1. 기본 비용 : 항공료, 숙박료, 식대

2. 여권만드는 비용 : 직접 만드는 경우 4만5천원 여행사 의뢰시 5만~5만5천원

3. 비자 신청비용 : 국가에 따라 다름

4. 인천 공항까지 교통비 : 서울 시내 기준 왕복 2만원

5. 공항이용료와 출국세 : 2만5천원

6. 현지국가에서의 공항이용료 : 국가에 따라 다르나 1만 ~ 2만원 정도

7. 현지가이드 팁(패키지 여행시) : 국가에 따라 다르나 1박당 약 $5



댓글은 로그인 후 열람 가능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2024년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 입장 예약 필수 [2] 아이리스 2023.12.23 4323 0
공지 2주 정도 로드 트립 준비중입니다. 어떻게 식사를 해결해야 할 지 고민중입니다. [16] 쌍둥이파파 2023.01.17 7095 1
공지 미국 국립공원 입장료, 국립공원 연간패스 정보 [4] 아이리스 2018.04.18 216423 2
공지 여행계획시 구글맵(Google Maps) 활용하기 [29] 아이리스 2016.12.02 631642 4
공지 ㄴㄱㄴㅅ님 여행에 대한 조언 : 미국여행에 대한 전반적인 준비사항들 [39] 아이리스 2016.07.06 821358 5
공지 goldenbell님의 75일간 미국 여행 지도 [15] 아이리스 2016.02.16 676667 2
공지 렌트카 제휴에 대한 공지입니다 [7] 아이리스 2015.01.31 675884 1
공지 공지사항 모음입니다. 처음 오신 분은 읽어보세요 [1] 아이리스 2014.05.23 728818 2
11878 렌트관련질문이여.. [5] 김고경 2003.07.14 3372 120
11877 미국 호텔 아침제공과 룸 체인지 [10] 루시남 2007.06.20 7879 119
11876 플로리다 데스틴 가보신분 계세요? [5] 한대우 2007.06.11 11753 119
11875 SUV렌탈하려고 하는데 휘발유입니까? 경유입니까? [4] 찌꾸/이경훈 2007.06.06 4879 119
11874 동부 촌놈의 과감한 배낭여행 계획 [5] 황주성 2006.10.10 4966 119
11873 미네소타에서 우리가족 미서부 자동차여행기(십사일째) Jung-hee Lee 2006.09.23 3944 119
11872 [질문] 일주일 여행 어디가 좋을까요? 라스베가스/그레이트캐년/요세미티 vs. 콜로라도 [2] 김현석 2006.07.25 4291 119
11871 몬테카를로 호텔 프로모션으로 69.99부터 있던데요. Jung-hee Lee 2006.07.24 2967 119
11870 시애틀에서 일리노이까지 16일 여행기9 (LA-디즈니랜드) 최머시기 2006.04.22 5933 119
11869 랜트카 예약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2] 임원규 2005.09.07 4374 119
11868 5월 미서부 여행 수정안입니다 [3] 박진보 2005.02.25 3080 119
11867 금요일 출발에 앞서 한가지만 더 여쭤볼께요. [3] 하늘 2004.09.22 3570 119
11866 국립공원 데스벨리 통행료 있나요? [6] swiss 2004.09.03 3249 119
11865 저 렌트카 질문있는데요,,...^^ [2] 박지형 2004.04.29 5759 119
11864 21일 서부렌트 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baby님...~~~글고 다른 여행 전문가 님들 [4] 박지형 2004.04.26 3737 119
11863 아래를 읽고 추가 질문 여쭙습니다.!!! [3] swiss 2004.04.07 3702 119
11862 지민이의 미서부여행 EPILOGUE [3] 테너민 2008.02.05 4435 118
11861 라스베가스에서 데스밸리 가는 길......조언 부탁드립니다. [3] lemon 2006.12.15 4903 118
11860 샌디에고로 5주 여행할 계획인데 숙소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4] Cindy 2006.08.02 3551 118
11859 미 서부 여행일정 [10월12일~24일 ] 문의 드립니다. [5] jack 2006.07.28 4237 118
11858 안녕하세요... 왕초보 서부유람일정인데... 잘모르는게 너무많네요.. 도와주세요.. [3] 이근원 2006.06.19 3521 118
11857 옐로스톤 궁금합니다 [2] 여행이 좋아 2006.05.09 3272 118
11856 일정 조언 부탁드립니다. (3월 중순 Las Vegas, Canyons) [3] 박경민 2006.02.20 3056 118
11855 그랜드 써클 여행 문의 [1] Aero 2006.01.26 3150 118
11854 미국서부 가족여행 - 5일차 (PCH 자동차여행) [2] 임원규 2005.10.08 4879 118
XE Login